아버지가 뇌출혈로 쓰러지셨다는 전화를 받았다. 장아찌를 받은 지, 딱 일주일만이었다.

병원에 도착하기 전까지 머릿속을 지배한 건 단 하나의 질문이었다. ‘응급실로 가셨다. 그다음은?’ 초조한 마음에 모든 것이 불만이었다.타들어 가는 내 마음과 달리 세상은 아무 일 없다는 듯 느릿하게 흘렀다. 삶이 어딘가에 걸려 뚝, 끊어진 느낌이었다. 멈춘 엘리베이터, 출발하지 않는 앞차,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고속도로, 가득 찬 주차장, 멀찍이 차를 세우고 뛰어야 하는 거리마저 참을 수 없이 길게 느껴졌다. 모든 것이 나를 가로막고 있었다. 나는 안으로만 숨이 차올랐다.


의료 대란으로 선택지는 많지 않았지만, 다행히 수술은 제때 이루어졌다.

고마웠다. 새벽에 아버지 집을 찾아간 큰아버지, 수술 여부를 확인해 준 119 대원, 옷가지를 챙겨준 병원 보안 직원, 아버지 얼굴을 조심스레 닦아준 간호사, 그리고 무사히 수술을 끝낸 의사까지. 그 순간에도 누군가는 묵묵히 제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모두가 고마웠다.


수술을 마친 아버지는 중환자실에서 일주일간 치료를 받았다. 이후,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2차 병원의 집중치료실로 옮겨졌다. 정신없는 날들이었다. 전원 절차를 마치고 나서야 비로소 병실 안을 찬찬히 둘러볼 수 있었다. 치료실에는 비슷한 상태의 환자들이 조용히 누워 있었다. 그들의 손에는 호흡기를 만지지 못하도록 장갑이 씌워져 있었다.

삶의 가장자리에 누워 있는 사람들은, 마치 생의 첫 장면으로 되감기 된 듯 보였다. 생명의 시작과 끝이 겹치는 공간. 현실과 비현실이 교차하는 경계. 가슴 깊은 곳에 묵직한 돌덩이 하나가 내려앉는 듯했다. 생명이란 얼마나 쉽게 무너지고, 또 얼마나 기적처럼 돌아오는가.


또 한 주가 지나 다시 아버지를 찾아뵈었다. 안색은 한결 편안해 보였다. 마비로 굳은 손을 조심스레 주물러 드렸다. 재미 삼아 아버지 손으로 엄지척을 만들었다. 통통한 엄지는 그간 무력했던 날들에 숨을 불어넣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 내비게이션은 평소와 달리 서해안고속도로를 안내했다. 군산을 지날 즈음, 하얀 눈송이들이 차창을 덮기 시작했다. 그 속에서 ‘탄핵안 가결’ 뉴스가 들려왔다. 복잡했던 마음에 작은 틈이 생겼다. 그 틈 사이로 눈발이 조용히 스며들고 있었다. 눈은 말 대신 내리는 위로였다. 무엇도 말할 수 없을 때, 세상은 하얗게 덮여야만 했다.

차창 너머로 쌓여가는 눈을 바라보며, 아버지의 병세에 대한 걱정도, 온 나라를 뒤덮은 어지러움도 서서히 잠잠해지는 것을 느꼈다. 소복이 쌓인 눈은 커다란 이불처럼 내 안의 불안과 혼돈을 조용히 덮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