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가 사랑이 됐네

지난 일요일, 문중 시제를 겸해 오랜만에 고향에 다녀왔다. 계절과 다르게 한여름처럼 무더운 날이었다. 시제를 마치고 아버지와 점심을 함께했다. 식사를 마친 뒤, 우리는 소나무가 우거진 선산을 천천히 걸으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다. 그때 아버지께서 “반찬 좀 만들어 놨으니 올라갈 때 가져가라”고 하셨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자연스럽게 부엌일에 재미를 붙이신 듯했다.
오랜만에 찾은 아버지 집은 여전히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었다. 신발장에는 신발이 일렬로 반듯하게 놓여 있었고, 싱크대에는 물기 하나 없이 말끔했으며, 안방 침대의 이불은 시루떡처럼 가지런히 개켜져 있었다.

부모는 자식을 위해 무엇이든 해주고 싶어 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점점 줄어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이제 장성해버린 자식은 넘어져도 울지 않고, 사춘기 때처럼 이유 없는 짜증도 내지 않으며, 용돈을 달라고 떼를 쓰지도 않는다. 그런 상황에서 ‘반찬을 챙겨주는 일’은 부모가 자식에게 여전히 해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일 중 하나일지 모른다.
무언가를 해줄 수 있다는 사실은 아버지에게도 큰 위로였을 것이고, 그 기쁨이 클수록 반찬의 양도 많아졌을 것이다. 분명 감사한 일이다. 그러나 이것이 누군가에겐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꼭 아름답기만 한 이야기는 아니다.

어머니와 다툰 기억은 많지 않지만, 유독 반찬 문제로는 자주 실랑이를 벌였다. 집에서 식사할 일도 드물었지만, 어머니는 늘 많은 양의 반찬을 챙겨주셨다. “엄마, 진짜 집에서 밥 먹을 일이 많지 않다니깐. 그니까 정말 조금만 줘.” 해도 어머니는 막무가내였다. 결국 반찬은 냉장고에 오래 자리만 차지하다가 곰팡이가 피고, 나는 미안함과 야속함을 섞어가며 그것들을 버리곤 했다. “에이, 참… 안 먹는다니까…”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한동안 반찬을 받을 일이 없었다. 그런데 이번엔 아버지께서 반찬을 챙겨 주셨다. 나는 문득 어머니와 다투던 기억이 떠올라 아버지께는 괜찮다고, 안 먹는다고 말하지 못했다. 오히려 “우와~ 맛있겠다!” 하고 영혼 없는 호들갑을 떨었다. 그러자 아버지는 김치냉장고를 뒤적이며 고추장아찌 한 통, 매실장아찌 두 통까지 더 챙겨주셨다. ‘하… 이게 아닌데…’ 괜히 오버했나 싶었다.
집에 와서 장아찌를 본 아내는 기겁했다. 결국 지인들 단톡방에 나눔 글을 올렸고, 다행히 다음 날엔 거의 다 나눌 수 있었다. 가만 생각해보니 아버지도 내가 장아찌를 좋아하지 않는 걸 모르진 않으셨을 텐데… 혹시 감당이 안 되어 그냥 ‘던지기’ 한 건가 싶기도 했지만, 그것은 어머니의 빈자리를 메우려는 아버지 나름의 사랑이었을 것이다.

“아빠, 장아찌 어떻게 됐어?”
장아찌 사건을 알고 있던 아들 녀석이 뜬금없이 물었다.
“엄마가 동네 사람들에게 나눠줬대.”
“스트레스라더니…”
“그랬지.”
“사랑이 됐네.”
아들 녀석의 그 한마디에 가슴 어딘가가 툭 무너졌다. 얼굴이 화끈거려서 고개를 들 수 없었다.
먹지도 않은 장아찌 때문에 입 안이 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