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나의 기쁨인가

선택의 순간,
머릿속에서 저울이 움직인다.
한쪽엔 ‘이익’을,
다른 한쪽엔 ‘후회’를 올려놓고
어느 쪽으로 기울지 셈한다.
그 분주한 계산 속에서 나는
가장 본질적인 질문을 놓치고 만다.
‘이 선택이 나에게 기쁨인가?’ 라는 물음.

조금은 단순하고
어쩌면 유치하게 들릴지 모르는
그 물음이야말로 가장 오래 남는 질문이다.

소설 《내게 남은 스물다섯 번의 계절》에서
주인공 카를은 농장을 구입하기 전,
아내와 요르단으로 여행을 떠났다.
그는 여행 내내 아내와
‘농장을 살 것인가?’에 대해 논의했고,
급기야 여행 가이드에게까지 조언을 구했다.
가이드 마호메드는 대답 대신,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그것이 당신에게 사랑과 평화를 주는가?
그것이 당신에게 기쁨과 힘을 주는가?
그것이 당신에게 자유와 자율을 주는가?
그것이 당신에게 휴식과 안정을 주는가?
그 질문은 ‘무엇이 옳은가’가 아니라,
‘무엇이 나에게 맞는가’에 가까웠다.

삶은 늘 결과보다 앞서
살아내야 하는 과정이다.
무언가를 선택한 뒤,
그 결과를 확인할 때까지는
시간이 한참 흘러야 하고,
그 사이에도 삶은 계속된다.
그래서 우리는 결과를 보기도 전에
이미 삶을 감당하고 있다.

삶은 성취의 목록이라기보다,
그 사이사이 흘러가는 감각들로 채워진다.
가끔은 의미도 없고,
이유도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살아내야 하는 시간들.
그 시간들이 모여
결국 우리가 기억하는 삶의 모습이 된다.

그래서 묻게 된다.
이 선택이 나에게 평화를 주는가?
이 결정은 나를 조금 더 숨 쉬게 하는가?
이것이 나의 기쁨인가?

삶을 대하는 태도는,
결과를 예측하는 데서 비롯되지 않는다.
보장받을 수 없는 선택을
조용히 살아내는 일,
그 안에서 내가 나답다고 느끼는
감각 하나를 놓치지 않는 일.
그런 마음이,
어쩌면 지금의 나를 이루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오늘도 나는 묻는다.
그것이 나에게 사랑과 평화를 주는가?
그리고,
이것은 나의 기쁨인가?